웹사이트 대표 주소 설정
검색엔진최적화 캠페인을 하다 보면, 많은 웹사이트가 대표 주소가 없거나 적절한 설정을 하지 않아서 많은 손해를 보고 있는 경우를 봅니다. 웹주소의 한 형태인 대표 주소는 비교적 쉽게 적용할 수 있는 테크니컬 SEO 의 한 요소이면서 SEO에 큰 영향을 주기 때문에 반드시 올바른 설정을 할 필요가 있습니다.
먼저 대표 주소가 무엇인지를 알아보고, 왜 SEO에 대표 주소 설정이 중요한지, 어떻게 대표 주소를 설정하는지도 알아봅니다.

웹사이트 대표 주소란?
웹사이트 대표 주소란, www.example.com 으로 입력하거나 example.com 으로 입력했을 경우, 어느 하나의 주소로 통일하여 트래픽을 제공하는 주소를 의미합니다.
예를 들어 example.com 의 경우 www 를 입력하는 방문자도 있고 아닌 방문자도 있을 것입니다. https 와 같은 보안 프로토콜을 적용한 웹사이트는 https 와 http 의 두가지 프로토콜을 모두 지원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결과적으로 다음과 같은 4가지 접근 방법이 있을 것입니다.
- http://example.com
- http://www.example.com
- https://example.com
- https://www.example.com
대표 주소란 방문자가 위의 4가지 중 어떤 주소를 입력하든 일관성 있게 특정 주소 하나로 접속이 되도록 설정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러한 대표 주소 설정은 검색 사용자나 타깃 고객에게도 일관된 주소 정보를 제공하는 역할을 함으로써, 보다 높은 인지도를 얻도록 하기도 합니다.

대표 주소가 SEO에 주는 영향은?
구글과 같은 검색엔진은 위에 예시를 든 4 가지 웹사이트를 각각 별도의 웹사이트로 인식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극단적으로 설명하자면 웹사이트 하나를 새롭게 론칭을 했는데, 검색엔진은 4개의 웹사이트가 만들어졌다고 인식을 할 수 있습니다.
얼핏 보면, 한번의 노력으로 많은 웹사이트가 있다고 착각을 하게함으로써, 검색엔진 최적화에 더 유리해겠다고 생각할 수도 있지만, 동일한 웹페이지를 검색 상위에 노출시키기 위해서는 해당 페이지가 있는 웹사이트의 도메인 점수가 중요한데, 이 점수가 분산이 됨으로써 상위 노출을 어렵게 합니다.
여기서 도메인 점수(Domain Authority) 란 해당 웹사이트가 검색엔진에서 어느 정도의 상위 랭킹에 오를 수 있을 것인가를 예측한 점수로서, 인바운드 링크(Inbound Link, Backlink), 콘텐츠의 품질, 웹사이트 운영 히스토리 등의 다양한 측면을 고려하여 측정한 점수이며, 검색 순위에도 영향을 끼치는 중요한 요소입니다.
예를 들어 백링크를 example.com 으로도 받고 www.example.com 으로도 받았다면, 도메인 점수가 분산이 되는 결과를 가져옵니다. 즉, 다양한 웹사이트 주소 입력에 대해 대표 주소로 트래픽을 보내지 않고, 여러 도메인에 분산하여 퍼블리싱 하는 경우라든가, URL 주소가 자동으로 리다이렉션이 되지 않는 경우는 검색엔진과 검색사용자 관점에서 모두 바람직하지 않다고 말씀드릴 수 있겠습니다.
전체 도메인 주소별 부여되는 도메인 점수
좀 더 깊게 들어가보면 www.example.com 이나 blog.example.com 와 같은 주소 형태는 전체 도메인 주소라고 하고, example.com 은 그냥 도메인명 또는 도메인 주소라고 합니다. www.example.com 과 blog.example.com 은 example.com 이라는 도메인 주소의 서브도메인이라고 불립니다.
SEO에서 전체 도메인 주소 (Fully Qualified Domain Name) 별 도메인 점수가 매겨진다는 말은 www.example.com 과 blog.example.com 의 주소를 이용해서 홈페이지와 블로그를 운영하고 있다면, 각각 2 개의 전체 도메인 주소에 대한 도메인 점수를 따로 따로 가지게 된다는 의미입니다.
반면 www.example.com 주소에서 홈페이지를 운영하고 www.example.com/blog 에서 블로그를 운영한다면 도메인 하나에 대한 점수를 합산해서 가지게 됩니다.
구글 검색엔진최적화 관점에서 보자면 도메인 점수를 합산해서 얻는게 낫겠죠? 왜냐하면 전자는 각각 도메인 점수가 있지만, 후자는 홈페이지와 블로그의 콘텐츠가 모두 하나의 주소로 통합한 도메인 점수를 얻기 때문입니다.

위 그림에서 왼쪽과 같이 주소 체계를 가져가면 서브도메인 방식이라고 하고 오른쪽을 서브 폴더 방식이라고 하는데요, 검색엔진최적화에 유리한 주소는 서브 폴더 방식입니다. 하나의 주소에 주제별 콘텐츠를 풍부하게 퍼블리싱하여 높은 도메인 점수를 얻는 방식이 상위 랭킹에 유리하기 때문입니다.
도메인 점수 관련하여 추가로 중요하게 기억해야하는 점은 프로토콜이 다르면, 다른 웹사이트 주소로 인식한다는 것입니다. 따라서 아래의 웹주소는 각각 별도의 도메인 점수가 만들어 집니다.
- http://example.com
- https://example.com
대표 주소 설정하는 법 – 웹서버 설정
대표 주소를 어떤 프로토콜에 어떤 주소로 할 지를 정했으면, 웹서버에 있는 .htaccess 라고 하는 설정 파일을 이용하여 하나의 대표 주소로 리다이렉트 설정을 합니다.
아래는 www를 입력하거나 http 프로토콜로 접속하는 모든 주소 입력을 https://example.com 으로 리다이렉트하는 .htaccess 파일의 예입니다.
RewriteEngine On
RewriteCond %{HTTPS} off [OR]
RewriteCond %{HTTP_HOST} ^www\. [NC]
RewriteRule ^ https://example.com%{REQUEST_URI} [L,NE,R=301]
대표 주소 설정하는 법 – 구글 서치 콘솔 설정
구글이 제공하는 무료 툴 중의 하나인 구글 서치 콘솔에서 대표 주소를 설정할 수 있습니다. 이는 웹서버 설정과는 별도로 검색엔진에게 대표 주소를 알려주는 역할을 합니다. 이 설정이 중요한 이유는 구글에게 대표 백링크 정보를 알려줄 수 있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어 example.com 과 www.example.comd 에 각각 10개씩의 백링크가 있다고 할 때, 구글 서치 콘솔의 설정으로 대표 주소 example.com 이 20개의 백링크가 있다고 알려주는 역할을 합니다.
결과적으로 이러한 설정은 모든 트래픽과 링크를 하나의 대표 주소로 전달이 되도록 하여 도메인 점수를 하나로 통합해주기 때문에 검색결과 상위 순위 및 노출 달성이 도움이 됩니다.
대표 주소는 구글 검색엔진최적화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도메인 점수를 향상시키기도 하고, 방문자들에게도 항상 일관된 주소를 노출함으로써 더 나은 사용자 경험을 제공합니다.
여러분들의 콘텐츠가 검색엔진 관점과 사용자 관점에서 모두 좋은 결과를 내올 수 있도록 하나의 대표 주소를 정해서 콘텐츠를 퍼블리싱 하시길 추천드립니다.
덧글: 한글 주소와 영문 주소 중 어떤 방식이 좋을까요?
이 글의 주제와는 약간 벗어난 내용인데요, 대표 주소가 아닌 블로그 포스트 주소의 웹주소의 경우 한글 또는 영문 중 어떤 방식이 SEO에 유리한지 알아봅니다.
웹주소가 SEO에 주는 영향은 두 측면이 있습니다. 검색엔진이 랭킹을 정할 때 영향을 주는 측면과 검색 결과에서 사용자로부터 선택을 받는데 영향을 주는 측면입니다. 먼저 검색엔진이 랭킹을 정할 때 영향을 주는 측면에서 보자면, 몇 년 전부터 구글은 검색 순위 랭킹을 매길 때, 웹주소 및 웹도메인에 포함되어 있는 키워드는 고려하지 않는다고 발표를 하였기에 영향이 없다고 할 수 있습니다. 이는 한글이든 영문이든 마찬가지입니다.
다만, 검색결과에서 사용자로부터 선택을 받는 측면으로보자면, 아무래도 깔끔하고 읽을 수 있는 형태의 문자열 웹주소가 훨 낫다고 볼 수 있으므로, 가능한 사람이 읽어서 해당 콘텐츠의 의미를 파악할 수 있도록 웹주소를 정하시기를 권해드립니다. 따라서 확장자가 없으면서 전체 주소가 보여지는 형태가 가장 낫다고 봅니다. 예를 들면, 아래와 같은 형태입니다.
- https://www.twinword.co.kr/blog/digital-marketing-forecast-2019/
- https://www.twinword.co.kr/blog/2019년을-이끌어-갈-5가지-디지털-마케팅-트렌드/
여기서, 영문을 선택할 경우와 국문을 선택할 경우 각각 장단점이 있습니다. 국문이 가독성이 높지만, 소셜 미디어 공유 등을 하게되면 암호처럼 주소가 보여지기 때문에 SNS 에서는 가독성이 떨어지게 됩니다.
결론적으로 웹주소가 구글 랭킹에 직접적인 영향이 있지는 않으며, 최대한 검색사용자에게 친철하게 콘텐츠 내용을 전달하도록 구성하시길 권해드립니다.
아울러 영문 또는 국문의 선택은 고객 상황에 맞춰서 일관되게 구성하면 되겠으나, 일반적으로는 영문을 추천 드립니다. 왜냐면, 웹주소는 캐노니컬 태그와 사이트맵, 소셜 공유 등 여러 곳에 사용되면서 가능한 접근에 오류가 나지 않아야 하기 때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