워드프레스 애드센스 호스팅 방문자수

워드프레스로 블로그를 시작하면서 애드센스 수익을 고려하면 결국 호스팅 방문자수가 나중에 미칠 불편한 영향에 대해서 고민하지 않을 수 없었다.

구글 애드센스 운영을 위해서 장기적인 플랜을 짜고 있는데 머리속에서 누구나 고민해 보았을 고민을 해결하는 과정에 있다. 애드센스 전문가들에게 물어보면 분명 좋은 해답을 갖고 있을 것으로 보여서 많이 찾아보았는데 이런 내용은 많았다.

가입형보다 설치형이 훨신 장점이 크다. 왜냐하면 자유자재로 만들어낼 수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애드센스 광고수익과 연결해서는 특별한 언급을 찾기 힘들었다.

그래서 나는 한국인 블로거들의 글을 충분히 검색해서 찾아볼만큼 찾아본 후, 영어권 사람들의 글을 다시 서치하기 시작했다. 그랬더니 어떤 발음하기도 힘든 블로거가 명쾌한 답을 내린것을 보았다.

블로거로 돈을 벌기 위해서는 어떤 호스팅을 선택해야 할 것이고, 애드센스 운영시 매달 방문자 수 의 제한을 고려하지 않을 수 없었다. Siteground 의 상품은 아래와 같다.

  • StartUp: Suitable for ~10,000 visits monthly
  • GrowBig: Suitable for ~ 25,000 visits monthly
  • GoGeek: Suitable for ~ 100,000 visits monthly

SiteGround states that the suggested number of visitors does not impose an upper limit, and should not be seen as a limitation. This is partially true, as SiteGround does not use a per-visit calculation to determine your hosting usage. But, they do use CPU seconds to calculate the usage.

난 이러한 방문자 수 제한에 의해서 결국 Gogeek 을 선택해야 할 지도 모른다는 생각을 , 물론 내가 그렇게 애드센스를 잘 운영해서 방문자 수 를 늘린다는 가정 하에, 생각했다. 그러면 또 비용이 부담이 된다. 만약 내가 GrowBig 을 선택해서 운영하다가 매달 방문자수가 어쩌다 트래픽이 심해져서 2만5천명이 넘어간다면 Siteground 는 이러한 레터를 보내준다고 한다.

We would like to inform you that your account callingallgeeks.org exceeded the monthly allowed number of CPU seconds per account, and your web service is limited for the calendar month. The limit will be removed automatically at 00:10 a.m. CDT on the first day of the next calendar month and service will be fully restored.

이렇게 해서 사이트가 접속자 수 를 제한하기 위해서 사이트가 잠시 다운이 될 수 있어 보인다.

물론 이렇게 문제가 생길경우 고객센터에 연락을 하면 이를 금방 해결해 준다고 한다. 심지어 방문자수 를 늘려준기도 하는것으로 보인다. 사이트그라운드는 더 이상 참을 수 없는 수준에 이를 때에만 이를 문제 삼는 수준으로 불편함을 제공하는 방식으로 한 단계 거치게 하는 정책을 갖고 있는것이 아닌가 생각든다.

결국 결론적으로는 만약 방문자수가 엄청나게 증가할 정도의 블로그 애드센스를 운영할 경우 사이트그라운드 보다는 조금 느리다고 느껴지면서 그래도 저렴한 대안인 Bluehost 나 A2hosting 로 갈아타는 것을 다시 고려할 수 밖에 없는 것이 지금의 생각이다.